본문 바로가기

명칭3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 번역 이 문구는 영국 화가 새비지 랜도어 A. Henry Savage-Landor 의 1895년 저서 " 코리아 혹은 조선 고요한 아침의 나라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은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한반도를 통치했던 왕조의 이름인 조선(朝鮮)을 문자 그대로 "아침의 밝음"으로 시적으로 번역한 것입니다. 한국의 과거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것이었지만, 활력이 부족한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의 의미였다. From page 35 고려라는 국명은 조선사람에게 버려졌기 때문에 조선이란 국명은 원주민(natives)들이 국가에 부를수있는 유일한 이름이다. 이 국호의 뜻은 매우 싯적인데 ‘고요한 아.. 2023. 6. 28.
조선 이씨왕조 계보도 두번째 시호는 중국에서 내린 시호다. 조선 에선 고종 , 순종 같은 시호를 사용했고 두번째 중국에서 내린 시호는 중국 과의 외교문서 에서 사용되었다. 타국에서 내린 시호들을 보면 중화 , 여진 , 일본 이다. 차례대로 속국 or 식민지 당한 것이다. 명나라 1. 태조(太祖) 이성계 - 강헌왕(康獻王) 1392년~1398년 2. 정종(定宗) 이방과 - 공정왕(恭靖王) 1398년~1400년 3. 태종(太宗) 이방원 - 공정왕(恭定王) 1400년~1418년 4. 세종(世宗) 이도 - 장헌왕(莊憲王) - 1418년~1450년 5. 문종(文宗) 이향 - 공순왕(恭順王) - 1450년~1452년 6. 단종(端宗) - 이홍위 1452년~1455년 7. 세조(世祖) 이유 - 혜장왕(惠莊王) - 1455년~1468년 8.. 2023. 1. 3.
조선의 왕비 명칭 비(妃)라는 명칭에 대하여 왕조에서 황제체제를 취하고 있을 경우 황제의 정부인을 황후(皇后)라 하였는데, 명나라에 대하여 제후국을 자처한 조선에서는 황후대신 왕비(王妃)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비(妃) 라는 명칭을 아무렇게나 쓰는게 아니다. 1. 왕대비(王大妃)- 왕조 체제에서 전전왕(前前王)의 왕비이거나 현왕(現王)의 할머니인 여성을 부르던 호칭 ,고려 시대 말, 몽골의 지배로 관제가 격하되기 이전까지는 대대로 왕의 어머니를 황태후(皇太后)라 부르다가, 그 이후 왕대비(王大妃)로 격하되어 조선 말기까지 왕대비로 불리었다 예) - 자성왕대비 - 정희왕후 (파평윤씨) 2. 대비(大妃) - 전왕 의 왕비 를 부르는 호칭이며,현왕 의 어머니 를 부르던 호칭 대비 는 태후(太后)에서 온 말이다. 예를 들.. 2022.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