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물32

고려시대 손비서 저택 -祕書 [ 비서 ] 요직(要職)에 있는 사람에 직속하여 그의 기밀(機密) 사무(事務) 따위를 맡아보는 직위 ※동국이상국전집 제24권 / 기(記) 손 비서(孫祕書)의 냉천정기(冷泉亭記) 운대 아감(芸臺亞監) 비서성 소감(祕書省少監) 손군(孫君)이 성북(城北)의 어느 마을에 새 집을 지었다. 큰 바위가 있어서 높이가 두어 길이나 되며, 형상은 쇠를 깎아세운 듯이 험준하여 청사(廳事) 북쪽에서부터 동쪽 구석까지 창창하게 둘러 있다. 그 아래에 차가운 샘이 철철 흘러내려 고여서 깊은 웅덩이를 이루었는데 그 맑고 깨끗함이 실로 아낄 만하다. 청사 동쪽에 붙여서 작은 정자를 걸쳐 지었는데 10여 명의 사람이 앉을 수 있다. 맑고 깨끗함이 산재(山齋)와 같으니, 이것은 편안하게 노닐고 한가롭게 지내기 위한 곳이다. .. 2023. 12. 25.
고려말 맹사성 고택 맹사성은 소 타고 다니고 청렴함으로 잘 알려진 인물, 저 집은 최영 장군이 살던 집으로 최영 장군의 손녀사위가 된 맹사성에게 그 집을 물려주었다고 한다. 물론 최영장군 또한 청렴함 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여러 번 개축되어서 본모습은 안 남아 있지만 조선시대 집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23. 12. 10.
일제때 지어진 조순탁 가옥 전라남도 순천 조순탁 가옥 ​ 처음 이 가옥을 조선 19세기 가옥이다 했는데 나중에 보수공사 할때 일제시대에 지어졌다는 년도가 새겨져 있어 일제시대 가옥 이라고 바꿨다. 솔직히 이건 일조시대 년도라도 새겨져 있지 , 안그런 가옥들은 그냥 19세기 가옥이라고 한다. 원래 시대가 변함에 따라 현찮은 집들은 좀 괜찮게 개축되기 마련이다. 그만큼 일제시대가 의식주 부터 생활전반이 나아졌다는 증거다. 2023. 12. 10.
임진왜란 경복궁 방화 다들 알겠지만 조선 궁궐은 왜적이 오기도 전에 자국민 손에 불탔다. 이랬던 나라가 전쟁 끝나고 서도 왕조가 유지 됐다. ※ 선조실록 67권, 28년(1595 을미 / 명 만력(萬曆) 23년) 9월 18일(정해) 빈번하게 일어나는 천변의 뜻을 유념하고 노복들의 폐해를 규찰토록 하다 변란이 생기기 전에 이미 백성이 이산(離散)한 지 오래 되었습니다. 왜적이 도성에 들어오기도 전에 궁궐이 먼저 불타버렸으니 이는 비록 흉악하기 그지없는 자의 소행이기는 하나 인심을 잃은 데에 어찌 그럴 만한 까닭이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 선수 수정실록 26권, 25년(1592 임진 / 명 만력(萬曆) 20년) 4월 14일(계묘) 도성의 궁성에 불이 나다 도성의 궁성(宮省) 에 불이 났다. 거가가 떠나려 할 즈음 도성 안의 .. 2023. 9. 13.
고려시대 대사찰 흥왕사 흥왕사는 2천 800칸 이었다. 고려 말기까지 기록되어있는걸로봐서 조선이 들어서고 억불책으로 폐사되어 사라졌다. ​ ※고려사절요 제5권 / 문종 인효대왕 2(文宗仁孝大王二) 정미 21년(1067), 송 치평 4년ㆍ요 함옹 3년 ○ 봄 정월에 흥왕사(興王寺)가 낙성되니, 2천 8백 칸이며 12년 만에 준공하였다. 왕이 재(齋)를 베풀어서 낙성하려 하니, 각처에서 중들이 모여 들었다. 명하여 계행(戒行)이 있는 자 1천 명을 택하여 법회에 참여하게 하고 이어 늘 머물러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5일 동안 밤낮으로 연등대회를 개설하였다. 칙령으로 중앙의 모든 관청 및 안서도호부ㆍ개성부(開城府)와 광주(廣州)ㆍ수주(水州 경기 수원(水原))ㆍ양주(楊州)ㆍ동주(東州)ㆍ수주(樹州 경기 평부(平富)) 다섯 고을, 강화(.. 2023. 7. 11.
고려 의종의 궁궐 고려시대 궁궐 중 안알려진 궁궐이 많다. 글로 봐서는 굉장히 화려했던 궁궐로 보인다. ※동사강목(東史綱目) - 조선후기 순암 안정복이 고조선으로부터 고려말까지를 다룬 역사책 제9상 정묘 고려 의종 원년부터 병진 고려 명종 26년까지 50년간 정축년 의종 11년(송 고종 소흥 27, 금주 양 정륭 2, 1157) ​ ○ 대궐 동쪽에 이궁(離宮)을 지었다. 영의(榮儀)는 대궐 동쪽에 익궁(翼宮 날개같이 양쪽에 붙여서 지은 궁전)을 이룬다면 기업을 연장할 수 있다고 하였다. 왕은 그 말을 믿고 익양후(翼陽侯)의 저택을 빼앗아 이궁을 만들었다. 궁(宮)은 수덕(壽德)이라 하였고 전(殿)은 천녕(天寧)이라 하였다. 또 시중 왕충(王冲)의 저택을 안창궁(安昌宮)으로, 전 참정(參政) 김정순(金正純)의 저택을 정화궁.. 2023. 7. 10.
고려와 조선의 바둑그림 공민왕 기위도는 고려말 문화와 복식등 많은 참고가 된다. 서민부터 귀족까지 쓰고다녔던 문라건과 비단 도포, 의자를 사용했던 입식문화, 그당시 저택등을 알수있다. 그런데 조선으로 넘어간 후 밑에 두그림 처럼 문화가 변했다. 의자 하나로 저렇게 천박하고 미개해질수 있는것이다. 원시인이 의자를 만들어 사용하면서 문명인이 될수 있는것처럼 말이다. 물론 세계사 적으로 로마가 망하고 중세 암흑기로 넘어가는 순간 문명이 퇴보하는 경우도 있다. 2023. 6. 25.
중국인과 조선인 윤치호일기 제1권(국역 윤치호 영문 일기1)>1888년>9월 6일~10월 4일(음력 1888년 8월 1일~8월 29일)>20일(15일, 목, 맑음) 20일(15일, 목, 맑음) 중추절(仲秋節)이라 3일 방학하다. 오후에 종쯔쥔 찾아 보다. 오늘 청인 풍속에 각처에 과자(菓子)와 음식 보내며 집집이 분향하며 귀신을 제사지낸다. 좁은 길에는 그 향내와 구린내 차마 견디기 어렵다. 똥뒷간 같은 조선에서 성장한 나에게 이러할 때 서양 사람이야 오죽이나 청인 더러운 것을 업신여기겠는가. 청인 남녀노소 없이 헛된 맹서와 욕 잘하기는 우리나라 사람보다 배는 심하다. 글 읽고 행세하는 사람 자제라도 그 입이 더럽기 측량없다. 남의 방에 들어오면 세간을 뒤져보며, 남의 편지 뜯어보며, 그 요란하고 추잡하기가 우리나라 사.. 2023. 6. 23.
입식과 좌식 문화 서양 문화 - 입식 (귀족) 한국 전통 문화 - 좌식 (빈곤층) 한국 6,70년대 보면 거의 대부분 국민들이 저렇게 좌식 생활을 했다. 문재인이 다리 다 휘어져 버린것도 양반다리 좌식 생활을 너무 오랫동안 해서 그런거다. 솔직히 입식 생활 하면서 맨발로 다니는 사람은 없다. 실내화 신고 다니지 맨발로 생활 하는건 좌식에서나 해당된다. 사진 보면 알겠지만 한국이 너무 가난한 나라라서 좌식 생활을 했던거 뿐이다. 고려시대 기위도나 아집도 대련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원래 한국도 입식 문화 였다. 그런데 입식에서 좌식으로 바뀐건 문명 발전 기준으로 봐서 이상한 일이다. 지금도 빈곤층 아니면 저렇게 그지 처럼 안산다. 나라가 점차 잘살게 되면서 입식문화로 바뀐거지, 요즘 세대도 보면 절대로 좌식 생활 안할려고 한.. 2023. 6. 22.
조선시대 자궁(紫宮) 조선엔 자궁(紫宮)이란 궁전이 없다. 자금성을 뜻하는것 같기도 하다. 연꽃다리도 없고 자신전(紫宸殿)과 청량전(淸涼殿)이란 건물도 없다. 더군다나 건물이 금은과 주옥으로 꾸며져있단다. 출처를 보니간 1713년에 편찬된 일본 백과사전 책이다. 돌로만든 사자상 16개도 없다. 돌로만든 봉황도 없고 단학도 없다. ​ ※ 해동역사 제29권 / 궁실지(宮室志) 성궐(城闕) 관부(官府), 정(亭), 관(館)을 붙임 ○ 조선의 왕성(王城)은 사방이 40여 리로, 바위를 잘라서 돌을 차곡차곡 쌓아 담장을 쌓았으며, 푸른 돌로 네 벽을 만들었다. 그 북쪽 산기슭에 남쪽을 향해 자궁(紫宮)이 서 있으며, 다리가 있는데 돌로 만든 연꽃으로 난간의 기둥을 만들었다. 다리의 좌우에는 돌로 만든 사자상(獅子像)이 4개가 있고, .. 2023. 6. 20.
세종이 지은 누추한 집 거지처럼 사는게 미덕으로 잘못 알고있으니 우습다. 왕은 왕답게 위엄이 있어야 한다. 왕이 거지 같은 몰골을 하고있으면 비웃음만 살뿐이다. 거지 처럼 사는건 미덕이 아니다. 저런 짓거리 할시간에 어떻게 하면 나라가 발전하고 국민이 잘살수 있는지 고민을 하도록 하자, 국민들에게 하등 도움이 안되니 말이다. 연려실기술 제3권 / 세종조 고사본말(世宗祖故事本末) 세종(世宗) ○ 임금이 경회루 동편에 남는 재목으로 별실(別室)을 지었는데, 돌 층대를 쓰지 않고, 또 짚으로 지붕을 올려 되도록 검소하게 한 후 늘 이곳에서 거처하였다. 문 밖에 짚자리가 깔려 있음을 보고 물으시기를, “이건 누가 한 짓인가. 비록 작은 물건이라도 내 명령이 내리기 전에는 안에 들이지 말라.” 하였다. ​ 세종실록 12권, 세종 3년 .. 2023. 6. 9.
노산과 기형아 출산 안그래도 저출산 인데 노산으로 인하여 기형아 출산이 많아지고 있다. 내가 아는사람 보면 유충 두마리 낳았는데 두마리 다 기형아다. 첫째 딸은 흉칙한 괴물로 태어났고, 둘째 남아는 자폐아 라고 들었다. 한국은 남자 인구가 많고, 여자인구가 적은 나라인데 왜 여성들의 결혼이 늦어지는 걸까, 여자들은 군대를 안가기 때문에 2년은 번다. 남자처럼 2년을 시궁창에 버릴필요가 없다. 낡은 자궁으로 유충을 출산하기 때문에 기형아 비율이 높아지는 거다. 돈이라든가 여러가지 이유로 결혼이 늦어진다해도 40대 이상 중년하고 결혼하는 게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여성은 젊음이 무기다. 빻았다해도 10대 라면 높은 값에 팔린다. 20대 까지가 딱 적정 나이다. 최근 사진이 공개된 대깨들의 얼굴 마담이었던 절세가인(絕世佳人) 조.. 2023.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