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학계34

이성계의 황산대첩의 거짓 황산대첩 당시 일본은 내분을 겪어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웠다. 그 때문에 살기가 힘들어진 일본의 일부 영주들은 무사들을 이끌고 고려나 중국 해안을 침입해 노략질을 일삼았다. 우왕 6년 왜군이 대선단 500여척을 타고왔고, 황산대첩 당시 말도 1천600필 이나 노획 했다고 하니 대군단에 상당수 기병으로 이루어진 듯하다. 이 왜군의 적장이 15세에 백마를 타고 전신이 철갑으로 이루어져 있어 활공격도 끄덕 없고 힘도 장사라서 이 무시무시한 적을 막을자가 없어 이성계 휘하의 여진족 장수들도 피했을 정도로 강적이었다. 결국 이성계가 활로 투구를 쏘아 벗기고 이지란이 활을 쏘아 죽였다는데 말도 안되는 내용이다. 왜군 숫자도 이성계의 군단 보다 10배나 많았다고 적혀있다. 우선적으로 15세에 이정도 내공을 쌓을 수.. 2024. 2. 6.
정유재란 - 남해안으로 퇴각하는 왜군 왜군은 14일에 명군에 의해 조선정벌이 어려워 지자 남해안 으로 퇴각한다. 15일에는 비변사 에서 왜적이 퇴각하는 이유에 대해서 의논한다. 9월말경 가토는 울산 , 시마즈 는 사천 , 전주를 점령하고 있던 고니시는 남하 하는 왜군과 같이 순천으로 남하 하여 왜성을 축성 한다. 왜군의 남해안 으로 남하한걸 이순신 에게 공을 돌리는 경우가 많은데 아니다. 명량해전은 16일이다. 애초에 명량해전 같은 작은해전으로 왜 퇴각하겠냐, 고작 판옥선 12척이 뭐가 무서워서, 마지막 선조의 말만 봐도 요사이 왜군을 물리친 것은 모두 직산전투의 영웅 양경리 힘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미 조명연합군 은 서울을 탄탄히 방어하고 있어 직산전투에서도 이기기 어려운 명군과 싸우기 어려운데 모험을 걸기보다는 방어전이 유리한 관계로 남.. 2024. 1. 21.
임진왜란 육군과 수군 지휘권 임진왜란 당시 수군 , 육군 군사 지휘권은 명나라 에서 가주고 있었다. 이순신은 수군 지휘권이 없어서 매번 진린에게 중지 당했고, 마지막 해전 이었던 노량해전도 진린의 허락이 있어야 했다. 선조 104권, 31년(1598 무술 / 명 만력(萬曆) 26년) 9월 10일(임진) 3번째기사 통제사 이순신이 진 도독에 대해 치계하다 통제사(統制使) 이순신(李舜臣)이 치계하였다. “진 도독이 신을 불러 ‘육군은 유 제독이 총괄하여 통제하고 수군은 내가 당연히 총괄하여 통제해야 하는데 지금 듣건대 유 제독이 주사(舟師)[수군]를 관장하려 한다 하니, 사실인가?’ 하기에, 신은 모른다고 대답하였습니다. 신이 주사를 정돈하여 바다로 내려가서 기회를 틈타 왜적을 섬멸하려 하여도 매번 도독에게 중지당하니 걱정스럽기 그지없.. 2023. 12. 25.
소설 홍길동전 세종시대 소설 홍길동전 시대배경을 보면 조선국 세종대왕 즉위 15년 - 이라고 써있다. 실제로 홍길동은 연산군때 활동한 의적이었지만 정작 허균이 쓴 소설 홍길동전은 세종시대가 시대배경이다. 사학계에서 미화해서 그렇지 세종시대는 암흑기 였다, 명화적 같은 도적도 많았고, 기근이 일어나서 인육을 먹고, 먹을게 없어서 흙파먹고, 중국에 금은 조공에, 소 1만마리 조공에, 말조공에, 처녀조공에, 고자조공에, 한자 음독화로 한국어 말살정책에, 노비 종모법에 정작 한글도 누가 만들었는지도 모르고, 허균은 세종시대를 암흑기로 보고 있었다. 현대 사학계에서 이미지 마케팅으로 암군을 성군으로 포장 가능한지 잘 보여주다. 세종은 외교도 무능한 왕이었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 2023. 10. 26.
정조의 주자학 사랑 개혁왕 정조??? 정작 알고보면 저모양이다. 주자학 외에는 새로운걸 받아들일 생각이 전혀 없었다. 18세기 까지 저러고 있던거 보면 너무 보수적이라서 가망이 없다. 지금 사학계에서 위인 이랍시고 모셔놓은 놈들도 알고 보면 다 저모양이다. 2023. 10. 26.
김구 왈 한국 사람들은 일제 협력자 Kim Koo said : "Practically everyone in Korea is a collaborator. They all ought to be in jail." 김구가 말했다 : "사실상 한국에 있는 모든 사람은 (일제) 협력자다......모두 감방에 쳐넣어야 한다" - 1948년 마크 게인의 433p - 친일인명사전 이름 부터가 문제다. 과연 친일인명사전에 창씨개명한 사람 이름이 전부 들어있을까 김영삼[가네무라 코유] 김대중[도요다 다이쥬]이름 이 들어있을까, 조선인 순사 이름이 전부들어가 있을까 아니다 이들의 이름은 없다. 친일인명사전에는 단순히 악덕 친일파 이름만 들어가 있다. - 일제식민통치와 전쟁에 협력한 4,389명의 주요 친일행각과 광복 이후의 행적 등을 담고 있다. - ※친일인명.. 2023. 10. 19.
노비 상계 문서 저건 18-19세기 진주 재령 이씨 종가 노비모임 상계문서 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60628/78894060/1 ※상계[喪契] 부모의 초상 따위를 당했을 때 서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조직 보통 한글은 일부 양반들만 사용했다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2016년에 노비 상계 문서가 발견되면서 노비와 상놈들도 한글을 즐겨 사용했다고 사학계에서 주장했다. 저 문서는 상놈들과 노비들이 한글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발견하기 위해, 기나긴 노력을 해서야 간신히 발견한 문서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저게 왜 증거가 된다는 건지 모르겠다. 물론 저게 발견되기 이전에 양반 주인의 명령에 따라 한글을 알았던 노비 우두머리가 매매계약서를 작성한 문서는 아주 .. 2023. 8. 28.
이순신 주색잡기 4 이순신 주색잡기 1 https://iece12345.tistory.com/391 이순신 주색잡기 2 https://iece12345.tistory.com/392 이순신 주색잡기 3 https://iece12345.tistory.com/393 이번 4번 글에서는 이순신의 그 유명한 여진에 대해 알아보자, 이부분에 대해서도 사학계에서는 이순신을 감싸주며 오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12일에 여진과 한번 관계 했고, 14일에 두번째 관계를 했다. 15일에는 여진과 세번째 관계를 했다. 이렇게 3일을 여진과 섹스를 했다. 과연 여진(女眞)이 뭘 의미할까 생각해 볼만한데, 단순히 이름 없던 여자를 저렇게 쓴게 아닐까 ※ 이순신의 여진 난중일기 1596년 9월 12일 (을사) 바람불고 비가 많이 내렸다. [양력 11.. 2023. 8. 23.
이순신 주색잡기 3 이순신 주색잡기 1 https://iece12345.tistory.com/391 이순신 주색잡기 2 https://iece12345.tistory.com/392 다음 자료는 이순신이 성상납 받는 부분이다. 성상납 받는 스토리를 보면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 라는 높은 위치에 있었다. 광주목사 최철견은 파직 당하는 바람에 이순신에게 자신의 딸을 성상납 시킨것이다. 이순신의 권력을 이용해서 복직을 노렸다. 여기에서 숙宿은 섹스가 아니라고 주장하는데 그냥 에둘러서 표현하지 섹스했다고 표현 하겠는가, ※ 이순신 성상납 『교감 완역 난중일기』, 노승석 옮김, 민음사, 2010, 346~347쪽. 병신년(1596년) 9월 19일 임자 비바람이 크게 불었다. 아침에 행적이 와서 만났다. 진원에 있는 종사관의 편지와 윤.. 2023. 8. 23.
이순신 주색잡기 2 이순신 주색잡기 1 https://iece12345.tistory.com/391 다음 이순신 주색잡기 내용은 이충무공 전서와 난중일기 초고본 비교 검토 다. 이충무공 전서는 정조때 간행된거다. 그러나 어떻게 된건지 이순신이 섹스 하는 내용이나 기생끼고 술처먹고 노는 내용들은 다 삭제 되어있다. 참고로 여기에 나와 있는 인물 김양(金洋)과 김혼(金渾)은 같은 인물이다. 한자가 비슷하다보니 번역 될때 잘못 적힌거다. 이순신의 난중일기는 손으로 쓴거다 보니 한자가 비슷한게 많다는 특징 때문에 오역이 많다. 이와 같은 경우는 허균의 문집이나 중국의 명사, 청사도 손으로 쓴거라서 오역이 많다. ※ 이충무공 전서 1596년 임신일 3월 5일 (음 4월 2일) 맑다. 새벽 세 시에 출항하여 해가 뜰 무렵에 견내량의 .. 2023. 8. 21.
이순신 주색잡기 1 개여지공(介與之共) ※ 난중일기 1596년 3월 9일 병자 아침에 맑다가 저물녘에 비가 내렸다. 아침에 우우후와 강진 현감이 돌아가겠다고 고하기에 술을 먹였더니 몹시 취했다. 우우후는 취하여 쓰러져서 돌아가지 못했다. 저녁에 좌수사가 왔기에 작별 술잔을 나누었더니 취하여 대청에서 엎어져 잤다. 개(介)도 어울려서 술먹고 잤다 - 개여지공(介與之共) ​------------------------ - 개(介)는 사람이름 으로 기생으로 보이는데 유명한 기생으로 이름이 똑같은 논개(論介)도 있다. 여기에서 공(共)은 함께 했다는 뜻이고 여지(之共)는 사귀었다는 뜻이다. 난중일기 사이트에 1596년 6월 24일에는 활쏘는 장면이 나와있는데 "경상수사도 와서 같이 쏘았다.(慶尙水使亦來共)" 라고 나와있다. 공(共).. 2023. 8. 21.
사르후 전투 삼하의 전투 , 부차전투 , 사르후 전투 - 명나라와 후금과의 싸움에서 조선이 파병나가 싸운 전투다. 한국 국사학계에서는 이걸 중립외교로 그럴듯 하게 포장하는데 실제로는 1만3천명의 조선군에서 8천명이 전사하고 5천명이 포로로 붙잡힌 대패한 전투다. 광해군이 적당히 살펴서 이기는 쪽에붙으라는 밀지를 줬다는 내용이 실록에 나오는데 그건 인조반정후 정당화를 위해 꾸며낸 이야기다. 실제로 전투내용을 봐도 개터지듯 싸우다가 청나라에 항복하는 내용밖에 안나온다. ​ ※ 광해군일기[중초본] 138권, 광해 11년 3월 12일 을미 1번째기사 1619년 명 만력(萬曆) 47년 평안 감사가 중국군과 조선군이 심하에서 패배했다고 치계하다 평안 감사가 치계하기를, "중국 대군(大軍)과 우리 삼영(三營)의 군대가 4일 삼하.. 2023.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