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10 노비 상계 문서 저건 18-19세기 진주 재령 이씨 종가 노비모임 상계문서 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60628/78894060/1 ※상계[喪契] 부모의 초상 따위를 당했을 때 서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조직 보통 한글은 일부 양반들만 사용했다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2016년에 노비 상계 문서가 발견되면서 노비와 상놈들도 한글을 즐겨 사용했다고 사학계에서 주장했다. 저 문서는 상놈들과 노비들이 한글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발견하기 위해, 기나긴 노력을 해서야 간신히 발견한 문서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저게 왜 증거가 된다는 건지 모르겠다. 물론 저게 발견되기 이전에 양반 주인의 명령에 따라 한글을 알았던 노비 우두머리가 매매계약서를 작성한 문서는 아주 .. 2023. 8. 28. 조선시대 7살에 아이를 낳은 종단 사건 영조시대 종단 이라는 소녀가 있었다. 그런데 7살에 강간 당해 아들을 낳아서 조선 조정을 놀라게 했다. 그후 조정에선 강간범을 붙잡은 후 섬으로 귀양 보내어 노비로 삼았다. 그러나 더 큰 문제가 있었으니 영조놈은 18세기 까지 노비법 이나 개정한 놈답게 강간 당한 어린 소녀와 그 아들 까지 섬으로 귀양 보내어 노비로 만들었다. 종단과 그 아들은 섬에 도착한후 얼마 못가 죽었다. 이게바로 조선식 처리법 , 조선식 엔딩이다. 이글을 읽어보면 영조 연간에 산음현 을 산청현 으로 고친 일도 쓰여있다. 사건이 해괴해서 부정적인 음(陰)자를 빼서 맑고 청아한 청(淸)자를 집어넣었다. ※영조실록 109권, 영조 43년 윤7월 29일 경신 1767년 청 건륭(乾隆) 32년 산음 어사 구상에게 아이를 낳은 여자 아이.. 2023. 5. 11. 제천의 늙은 노비 여자 경기도 파주의 노비 유분 https://iece12345.tistory.com/282 전에 썼던 위에 글의 노비 여자는 사노비 지만 여기에 나오는 노비여자는 공신에게 내려줬던 사패비다. 가무에 뛰어 났지만 나중엔 늙어서는 식모가 되었다. ★박 사재(朴四宰) : 사재(四宰)는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말하는데 구체적으로 누구를 지칭하는지는 알 수 없다. ★사패비(賜牌婢) : 임금이 종친이나 공신에게 내려 주는 여종을 말한다. 기언(記言) - 조선 중기의 학자 허목(許穆:1595∼1682)의 문집 기언 별집 제1권 시(詩) 제천(堤川)의 가난한 여인 제천의 궁한 여인 의지할 곳 없으니 / 堤川寒女貧無依 짧은 소매 당겨 봐도 팔꿈치를 겨우 덮네 / 短袖數挽纔掩肘 우두커니 길에 서서 길게 한숨 내쉬더니 /.. 2023. 5. 6. 경기도 파주 노비 유분 조선 후기 노비 제도 https://iece12345.tistory.com/202 조선 후기 18세기 사회는 남자 노비는 영조의 공사천법으로 없어지고 여자노비만 남게된 사회다. 18세기 조선시대의 인물인 성대중(1732~1809)의 저서 청성잡기 제4권 성언(醒言) 파주 열녀 유분(有分) 이야기 파주 읍점(邑店)에 열녀 유분의 정문(旌門)이 있다. 지붕은 띠〔茅〕로 엮여 있고 붉은 글씨는 희끄무레해져서 잘 보이지 않는 상태였는데 그대로 두었다가는 곧 썩어 무너질 것 같았다. 유분은 남의 집 종이었다. 어렸을 때에 그 조모를 따라 홍문(紅門) 아래에서 쉬다가 홍문을 세우는 이유를 묻자 조모가 대답하였다. “효자와 충신, 열녀에게 관아에서 정문을 내릴 때는 이런 홍문을 세운단다.” 또 어떻게 해야 열녀라 하.. 2023. 5. 5. [종합] 영조의 노비법 소개 영조 이후로 조선 노비법은 변화한적은 없다. 머리를 잘쓴 효율적인 법이라서 그럴거다. 1. 영조 6년 종모법 https://iece12345.tistory.com/200 노비 남자가 평민 여자를 얻었을경우 남녀 모두 어머니를 따르게 했다. 2. 영조 7년 종부 종모법 https://iece12345.tistory.com/201 보통 평민 남자와 노비 여자가 결혼 하다보니 남자는 아버지 , 여자는 어머니를 따르게 했다. 3. 외국인이 본 조선 말기 노비법 https://iece12345.tistory.com/202 2023. 2. 8. 서양인이 본 조선의 노비제도 ※영조의 공사천법 https://iece12345.tistory.com/201 이글을 읽어보면 영조의 공사천법에 대해 쓰여있다. 영조시대 시점으로 여성들이 더욱 천해지지 않았을까 이 얼마나 야만의 나라인가 한국근대사자료집성 14권 14권 프랑스외무부문서 4 조선Ⅲ·1890 > 정치공문 1888~1896 조선 1890 권3 콜랭 드 플랑시 씨 > 【35】 조선의 노비제도에 관한 보고 제목 【35】조선의 노비제도에 관한 보고 문서번호 정치국 극동과 제132호 발신일 1890년 3월 14일 ( 1890년 03월14일 ) 수신자 스퓰러, 등등 【35】 조선의 노비제도에 관한 보고 정치국 극동과 제132호 서울, 1890년 3월 14일 조선의 노비 제도 장관님, 유럽에서는 아프리카 대륙의 노예무역에.. 2023. 2. 8. 영조의 종부 종모법 이 노비법은 너무 비인간적이라서 사학계에서 숨기는것중 하나다.영조의 공사천법은 노비 종부, 종모법인데 반반 법이다. 남자는 부역, 여자는 모역을 따르게 하는거다. 창녀제도 인건 마찬가지다. 그나마 양반들하고 타협한게 영조의 공사천법 이다. 딸을 낳으면 양반들이 노비로 쓸수있고 남자를 낳으면 군역세를 내니 국가에 좋은거다. 18세기까지 이러고 있으니 암울하다. 이때 노비제도를 혁파해도 굉장히 늦은 시기였다. [주D-005]옹정(雍正) 신해년 : 1731년(영조7)으로 이해 3월에 공ㆍ사천법(公私賤法)을 정하여 남자는 부역(父役), 여자는 모역(母役)에 따르게 했다. 영조실록 29권, 영조 7년 3월 25일 무자 3번째기사 1731년 청 옹정(雍正) 9년 홍치중이 양역 변통의 일을 아뢰다. 노비 종부·종.. 2023. 2. 7. 영조의 종모법 ※ 영조 7년 종모 종부법 https://iece12345.tistory.com/201 영조 6년에 양인을 늘리기 위해 종모법을 실시 했으나 효과가 없는지 영조 7년에는 남자는 아버지, 여자는 어머니 역을 따르게 하는 종부 종모법으로 바꾼다. ※영조실록 28권, 영조 6년 12월 26일 경신 3번째기사 1730년 청 옹정(雍正) 8년 군역과 인족의 폐해와 노비 종모법의 실시와 또 동전의 주조 등에 대한 김상성의 상소 "어사(御史)의 진달한 바를 들으니, 양민(良民)의 날로 줄어든 폐단이 오로지 여기에 연유한 것이다. 사소한 폐단 때문에 대체(大體)를 소홀히 할 수는 없는 일이니, 금년부터 소생(所生)은 영갑(令甲)으로 정하여 공천(公賤)·사천(私賤)을 막론하고 모역(母役)에 따르게 하라." 2023. 2. 7. 세종의 노비 종모법 세종의 노비 종모법은 한국사의 중대한 단초중 하나를 끊은 비극으로 이어진다. 내가 전에 쓴 태종의 노비 종부법을 읽었다면 분명히 양인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세종은 양반들의 요청에 따라 노비법을 종모법으로 바꾸고 말았다. ※세종 55권, 14년(1432 임자 / 명 선덕(宣德) 7년) 3월 15일(갑술) 3번째기사 상정소의 제조 맹사성·권진·허조·정초 등을 불러 의논하기를, “내가 즉위(卽位)한 이래로 조종께서 이미 이루어 놓은 법은 고치지 않으려고 마음 먹었으며, 만약 부득이한 일이 있을 경우에만 여러번 고친 일이 있다. 그러나 노비에 대한 법은 아직 고친 일이 없다. 다만 공·사비(公私婢)로서 양민(良民)에게 시집가서 낳은 자녀(子女)는 양민으로 처리한다는 법은, 대신들이 그것의 옳지.. 2022. 12. 13. 태종의 노비 종부법 효과 태종이 노비 종부법을 시행한후, 지들 노비 숫자가 줄어들고 있으니 양반들이 얼마나 슬펐을까, 노비여자들이 주인에게 고하지 않고 양인남자에게 시집가는 자가 매우 많으니 그여자들은 전부 관노비로 만들라고 세종에게 말했더니 세종이 거절하는 내용이다. 태종이 노비 종부법을 시행하면서 노비 숫자가 많이 줄어들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세종이 다시 노비 종모법을 시행했다. ※세종실록 42권, 세종 10년 12월 9일 병술 7번째기사 1428년 명 선덕(善德) 3년 예조에서 양인에게 시집가는 천한 신분의 여자의 처리 문제에 대해 건의하다 예조에서 계하기를, "천한 신분의 여자로서 양인(良人)에게 시집가는 자는, 사천(私賤)은 그 주인에게 고하고, 공천(公賤)은 관(官)에 고한다는 것으로 이미 이루어진 법이 .. 2022. 12.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