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업4

조선후기 성호사설 상업 성호이익은 상업을 안좋게 여기고 있었다. 조선후기 실학자 수준이 이정도면, 이 나라는 더이상 가망이 없었다는 걸 알수있다. 상업에 의해 거상이 생겨나면 양반들의 기득권이 흔들리기 때문에 조선 양반들은 상업을 억제한후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켰다. 성호이익 [李瀷] 1681(숙종 7)∼1763(영조 39).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호사설 제8권 인사문(人事門) 생재(生財) 대저 우리나라는 지역(地域)이 좁은데다가 물길이 사방으로 통하여 있기 때문에 경화(輕貨)가 필요치 않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돈[錢]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국초(國初)에는 종포(綜布)와 저화(楮貨)를 사용하였었다. 지금 돈을 사용한 지 겨우 70년 밖에 되지 않았으나, 폐단이 더욱 심하다. 돈은 탐관 오리(貪官汚吏)에게 편리하고, 사치하.. 2023. 5. 22.
고려시대 충혜왕의 상업 충혜왕의 공장 https://iece12345.tistory.com/253 충혜왕은 시전에 점포를 차리고 상업을 적극 장려했던 왕임과 동시에 최고의 거상이었다. 조선시대 왕중에 충혜왕 만한 인물이 나왔다면 그렇게 미개하게 망하진 않았을거다. 충혜왕은 이미 한국 사학계에서 뛰어난 왕으로 재평가 받았는데, 일부 자극적인 내용 때문에 역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색마로 저평가 받고 있다. 역사라는건 그당시 사관이 어떻게 적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고려사 충혜왕 후3년(1342) 임오년 무오일. 왕이 의성창(義成倉)·덕천창(德泉倉)·보흥고(寶興庫)의 베 48,000필을 내어 저자에 점포를 열게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충혜왕 후3년(1342) 임오년 (국역 고려사: 세가, 2008.8.30, 경인.. 2023. 4. 3.
조선말기 선비의 개혁조항 선비들이 조선 500년 내내 상공업을 억눌러야 된다고 그렇게나 말하다가 나라가 망할즘에 상공업을 발전 시켜야 된다고 말하고있다. 조선인들은 언제나 이렇게 뒷북이다. ※유학 [幼學] 벼슬을 하지 않은 유생(儒生)을 칭하는 말. ※賃船 [ 임선 ] 삯을 주고 배를 빌리어 씀. 고종실록 19권, 고종 19년 9월 20일 계묘 4번째기사 1882년 조선 개국(開國) 491년 군사 훈련과 상공업의 발전, 환곡 등에 관하여 조문이 상소하다 유학(幼學) 조문(趙汶)이 상소하여, 군사를 훈련시키고, 상공업을 발전시키고, 의학기술을 각국에서 배워 그 정묘한 기술을 취하고, 사치한 기풍을 억제하며, 호포(戶布)를 없애고, 조운(漕運)은 본읍(本邑)으로 하여금 임선(賃船)하여 자체로 바치게 하며, 환곡(還穀)에 대해서는 그.. 2023. 3. 31.
조선인 으로서의 산업 7집 국역 윤치호 영문 일기7(한국사료총서 번역서7) > 1923년(계해년) > 9월 27일 《목요일》 화창하고 따뜻함. 송도 집이다. 많은 조선인들은 이렇게 넋두리를 한다. 돈을 벌 수 있는 곳은 모두 일본인 수중에 들어가 있고, 조선인이 돈을 벌 수 있는 곳은 아무 데도 없다고 말이다. 이윤이 많이 남는 사업 분야에 관한 한 정말이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농업·공업·상업 분야에서 조선인이 이윤을 남길 만한 활동 공간이 아직도 남아 있다는 것 역시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그 근거는 이렇다. 일본인을 빼고 조선에서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전혀 없다면, 중국인은 조선에서 농민으로서, 수공업자로서, 상인으로서, 날품팔이로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까? 자본과 경험 부족으로 규모가 큰 사업을 경영할.. 2023.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