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중기

광해군 고려역사를 통해 배우다

by afsefe 2022. 12. 29.

선조와 광해군의 공통점 중 하나가 바로 "조선은 고려보다 못한 나라다." 라고 스스로 말했다는 거다. 이 실록글들은 고려사를 다시 재판하고 고려 역사를 통해 위기를 극복할려고 하고있다. 역사를 통해 교훈을 배우는 법이다. 

 

※ 광해군일기[정초본] 36권, 광해 2년 12월 11일 임오 1번째기사 1610년 명 만력(萬曆) 38년   

고려사를 속히 정밀하게 인쇄하게 하도록 교서관에 분부하게 하다

전교하였다. 

"《고려사》를 즉시 내려보내어 속히 정밀하게 인쇄한 다음 원본과 함께 올려보내는 일을 교서관으로 하여금 각별히 분부하게 하라."

 

※ 광해군일기[정초본] 166권, 광해 13년 6월 6일 병자 3번째기사 1621년 명 천계(天啓) 1년

중국의 요동에서의 패배와 관련해 국론을 조정할 것을 명하다

전교하였다.

"이 적들이 요동성에 들어가 버티고 있으므로 중국의 장관들이 차례로 적에게 항복하고 있다. 심지어 요동 지방의 인재들 2백여 명이 원 경략(袁經略)을 결박하여 넘겨 주었다고 한다. 비록 30만 명이나 되는 군사가 나온다 하더라도 이는 모두 일찍이 오랑캐를 경험하지 못한 군사들이다. 영솔하는 대장들이 과연 이목(李牧)이나 이정(李靖)과 같은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그들의 갑옷과 무기가 파손되어 형편이 없다고 한다. 멀리에서 온 군사들이 어떻게 정예롭고 건장하겠는가. 중국의 일의 형세가 참으로 급급하기만 하다. 이런 때에 안으로 스스로를 강화하면서 밖으로 견제하는 계책을 써서 한결같이 고려(高麗)에서 했던 것과 같이 한다면 거의 나라를 보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요즘 우리 나라의 인심을 살펴보면 안으로 일을 힘쓰지 않고 밖으로 큰소리 치는 것만 일삼고 있다. 조정의 신하들이 의견을 모은 것을 가지고 보건대, 무장들이 올린 의견은 모두 강에 나가서 결전을 벌리자는 의견이었으니 매우 가상하다 하겠다. 그렇다면 지금 무사들은 어찌하여 서쪽 변경은 죽을 곳이라도 되는 듯이 두려워하는 것인가. 고려에서 했던 것에는 너무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니, 부질없는 헛소리일 뿐이다. 강홍립 등의 편지를 받아 보는 것이 무엇이 구애가 되겠는가. 우리 나라 사람들이 끝내는 반드시 큰소리 때문에 나라일을 망칠 것이다. 그리고 이제 차관을 만포(滿浦)로 옮겨가게 한다고 하는데 그들이 과연 머리를 숙이고 명령을 받아들이겠는가. 대체로 이 문제는 관계되는 바가 매우 중요하니 다시 더 의논해서 잘 처리하도록 하라.

'조선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포왜란 승전영웅 황형  (0) 2023.01.19
오직 주자학 뿐인 나라  (0) 2023.01.04
명나라의 가도 정벌  (1) 2022.12.29
인조 군대를 이끌고 싸우기를 거부하다  (0) 2022.12.21
병자호란 쌍령전투  (0) 2022.12.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