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 102권, 세종 25년 12월 30일 경술 2번째기사 1443년 명 정통(正統) 8년
훈민정음을 창제하다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諺文) 28자(字)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성(初聲)·중성(中聲)·종성(終聲)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루었다. 무릇 문자(文字)에 관한 것과 이어(俚語)에 관한 것을 모두 쓸 수 있고, 글자는 비록 간단하고 요약하지마는 전환(轉換)하는 것이 무궁하니, 이것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고 일렀다.
세종실록 113권, 세종 28년 9월 29일 갑오 4번째기사 1446년 명 정통(正統) 11년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 어제와 예조 판서 정인지의 서문
어제(御製)에, 중성(中聲)과 같고, 종성(終聲)은 다시 초성(初聲)으로 사용하며 [간략]
다만 방언(方言)과 이어(俚語)만이 같지 않으므로, 글을 배우는 사람은 그 지취(旨趣)의 이해하기 어려움을 근심하고, 옥사(獄事)를 다스리는 사람은 그 곡절(曲折)의 통하기 어려움을 괴로워하였다 [중략]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殿下)께서 정음(正音) 28자(字)를 처음으로 만들어 예의(例義)를 간략하게 들어 보이고 명칭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 하였다. 물건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는 고전(古篆)을 모방하고,28자로써 전환(轉換)하여 다함이 없이 간략하면서도 요령이 있고 자세하면서도 통달하게 되었다.
-------------------------------------
세종 25년 실록 글이 나중에 끼워넣은 가짜라는것은 세종 28년글에 전부다 있는 내용이다. 그러니간 세종 28년 글을 핵심만 축약해서 세종 25년에 갖다 붙인거다. 계해년 겨울은 세종 25년을 뜻하는거다. 결국 훈민정음 창제는 기승전결에서 결과도 없다. 애초에 사관이 언제나 임금옆에 붙어있다. 그런데 대사한줄도 못적었다는게 말이 되겠나 그렇다고 기사하나에서 옵션격인 글도 아니다. 세종 28년 실록글은 훈민정음 해례본에 정인지 서문과 어제로서 그대로 나와있는 내용이다. 25년글의 날자를 보면 12월 30일이다. 그러고선 써놓은것이 이달에 언문을 지었는데 라는 내용도 과거형이다. 결국 정확히 몇일에 지었다는것도 모르는거다. 조선왕조실록은 왕이 죽은후에 편찬하는 거라서 나중에 끼워넣는 경우가 많은데 세종 25년 실록글이 그런경우다.
훈민정음 미스터리 - 가짜실록
'세종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해례본 - 야사의 탄생 (0) | 2022.12.09 |
---|---|
훈민정음 해례본 번역문 (1) | 2022.12.09 |
뒷간 문자 - 훈민정음 (0) | 2022.12.09 |
훈민정음 미스터리 - 가짜 실록기사 (0) | 2022.12.09 |
조선과 명나라의 우정 (0) | 2022.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