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사6 조선시대 게 이야기 일 없이 노니며 남 참견하는 것을 인생의 낙으로 삼는 이첨지가 바다 마을을 배회하다 어부 하나를 발견하고 시비라도 걸 셈으로 다가갔는데 마침 대나무 망태기가 옆에 보이는 것이 아닌가 대나무 망태기안에 게가 가득인데 뚜껑이 없다 "여보, 이 안에 게가 전부 살아있는 것이 아닌가?" "그렇습니다." "도망이라도 치면 어쩌려고 뚜껑을 덮어놓지 않는단 말인가." 그러자 어부가 말하기를 ''당최 조선 게라는 것들은 자기 몸 상하는 것 보다 남 잘 되는 것이 더 걱정인지라, 한 놈이 망태기 밖으로 나가려고 하면 다른 놈들이 힘을 합쳐 끌어내립니다. 무슨 뚜껑이 필요하겠습니까.'' 라 하였다. 그러자 이첨지는 "과연 조선 땅에서는 게나 사람이나 다를 바가 없구나!" 감탄하며.. 2023. 10. 5. 효종의 북벌론 효종의 북벌론은 야사에서만 나온다. 실록에 못적은 이유는 실록은 청나라 사신이 와서 마음대로 볼수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 사학계에서는 효종이 북벌 할려고 했으니 대단하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그건 대단한게 아니다. 할려고 한게 뭐가 대단하단 말인가, 시작이 반이란 말이 있듯이 했다와 안했다의 차이는 엄청난거다. 한국 사학계에서 정도전의 북벌론 과 효종의 북벌론을 띄워주는 것은 약해 빠진 나라의 자위행위와 같다. 입 으로는 세계정복도 가능하다. 연려실기술 제30권 효종조 고사본말(孝宗朝故事本末) 청 나라 사신이 사문(査問)하다 백마산성(白馬山城)에 이경석을 위리안치하다. ○ 그때 청 나라 사신이, 우리나라가 자점을 쫓고 조정의 신하를 바꾼 것을 책하여 칙사 10여 패가 연달아 와서 힐문하기를, “너희.. 2023. 4. 1. 군밤장수와 고종 철종의 다섯아들 들은 전부 요절하여 후사없이 죽자 고종이 왕위에 올랐을때 아무것도 모르는 12살에 왕다운 교육도 못받은 아이 였다. 세도 정치 시기 아니였으면 왕조차 못될 입장이었으나 철종 때는 세도정치가 들이 일자무식 농부 하나 올려 세웠다면 고종은 동네에서 놀고있는 어린이 하나 올려세운 것이다. 고종은 혈통만으로도 따지자면 왕이 될수 없는 위치 였다. 세도 정치가들 입장에서 고종이 멍청하게 생기고 나이도 어리고 배운것도 없기때문에 이용해먹기 좋았을 것이고 철종 때는 일자무식 농부 하나 올려세워 놔서 이용해 먹기 좋았을것이다. 이게다 세도 정치가들이 지들 마음대로 할 음모였던 것이다.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가계는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로부터 파생되었다. 사도세자가 세자빈 혜경궁 홍씨에게서 얻은 아들이 정조.. 2023. 3. 31. 마천목의 도깨비 방죽 ※ 마천목 - 고려말 조선초 무신 ※임실현(任實縣) - 전라북도 청장관전서 제68권 한죽당섭필 상(寒竹堂涉筆上) 도깨비 방죽 임실현(任實縣) 오원(梧原) 땅에 도깨비 방죽이 있다. 세속에서 전하기를 마 부원군(馬府院君)이 한미(寒微)할 때에 하루는 시냇가로 고기를 낚으러 갔다가 오색(五色)의 영롱한 괴이한 돌 하나를 주워가지고 돌아와서 보물로 간직하였는데 밤중에 도깨비 수만 명이 와서 엎드려서 애걸하기를, “귀왕(鬼王)이 부(符)를 분실했는데 족하(足下)께서 그것을 얻으셨습니다. 원컨대 급히 돌려 주십시오.” 하였다. 그러자 마 부원군이, “부(符)란 어떤 물건이냐?” 하니, 도깨비가, “아까 얻으신 괴이한 돌이 그것입니다.” 하였다. 마 부원군이 더욱더 허락하지 않자, 도깨비가, “족하께서 만약 하시고.. 2023. 3. 13. 고종 자살설 고종 독살설 도 있고 고종 자살설도 있다. 그러나 현재 사학계에서 고종 독살설이 부각시키고 있는 이유는 어디까지나 일제가 죽인거야 하기 때문이다. ※ 나시모토 공주는 이방자(李方子, 1901~1989) 여사를 가리킨다. 6집 국역 윤치호 영문 일기6(한국사료총서 번역서6)>1919년(기미년)>1월>26일 일요일 흐림. 섭씨 5도. 26일 《일요일》 흐림. 섭씨 5도. 종교교회에 나갔다. 광무태황제가 이 왕세자와 나시모토 공주의 결혼식 나흘 전에 승하함으로써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소문을 불러일으켰다.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이미 큰 굴욕을 감수한 터에 작은 일 때문에 목숨을 끊었을 리 없다. 게다가 어린 왕세자와 일본 공주의 결혼은 조선 왕실 입장에서는 최고의 경사임이 틀림없다. 두 왕족의 결혼으로 두 .. 2023. 1. 1. 버들잎 설화 미스터리 한반도 버들잎 설화를 보면 두가지 설화가 존재 한다. 바로 이성계의 버들잎 설화와 왕건의 버들잎 설화 가있다. 그러나 내용은 동일하다. 1. 이성계의 버들잎 설화 - 신덕왕후 어느 날 호랑이 사냥을 하던 이성계가 목이 말라 우물을 찾았는데, 마침 그 우물가에 한 여인이 있었다. 이성계가 그 여인에게 물 좀 떠 달라고 청하니, 여인은 바가지에 물을 뜨고나서 버들잎 한 줌을 물 위에 띄워주었다. 이에 이성계는 이 무슨 고약한 짓이냐며 나무랐다. 여인은 갈증으로 급히 달려온 바, 냉수를 마시면 탈이 날 것 같아 버들잎을 불며 천천히 마시라고 일부러 그리했다고 수줍게 대답하였다. 이 말을 듣고 내심 감탄한 이성계가 그 때서야 여인을 유심히 살펴보았는데 여인의 미색이 아주 빼어났다. 여인의 지혜와 미모에 이성계는.. 2022. 12. 19. 이전 1 다음